top of page

[뉴스] 특허권의 보유과 비침해주장의 관계

작성자 사진: 특허법률 만성특허법률 만성

특허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특허침해가 아닌 것은 아닙니다


 


고객님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내가 특허를 받았는데 상대방이 나를 침해자라고 주장하므로 그 주장은 부당하다”라는 말을 듣고는 합니다.

심지어 특허소송에서도 이 논리를 주장하는 분들이 있어서 판사님들을 당황스럽게 만들고는 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특허의 본질을 고려해 본다면 이러한 주장은 협상에서도 그리고 소송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특허는 독점권의 성격을 가집니다.


그 독점의 의미는 발명에 대해 특허로 등록받았다면 그 특허발명을 다른 이들이 쓰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고, 특허 등록으로 인해 특허권자가 그 특허발명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래서, 내가 이 발명에 대해 특허를 받았으므로 특허침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어디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없습니다.


 


또한, 특허는 금지권의 성격을 가집니다. 즉, 특허권자는 자신의 특허발명을 다른 이가 실시할 수 없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허는 경쟁자가 동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만들어서, 특허권자로 하여금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합니다.

이와 반대로, 특허를 받지 않고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해서 판매하다 보면, 불과 수개월 안에 경쟁업체들이 카피제품을 만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허는 이런 카피행위를 경쟁자가 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한편, 특허는 사용권이 아닙니다. 그래서, 내가 특허를 가지고 있다고 특허침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즉 내 특허발명을 내가 실시하고 있더라도, 다른 특허권자로부터 침해주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침해문제는 내가 특허를 받았다는 사실과는 별개로 검토해야 합니다.


이상, 특허권의 보유사실이 비침해주장(침해가 아니다)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을 드렸습니다.

특허권의 성격에 대한 설명이 특허에 대한 이해에 작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신무연 변리사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entarios


bottom of page